티스토리 뷰
IPv4 주소는 명령 프롬프트에서 ipconfig 명령어를 실행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IPv4가 의미하는 바와 현재 대기업에서 전환 중인 IPv6t와의 차이점을 정리합니다. MAC 주소 등 다양한 용어들이 있는데, IP 주소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명확히 정리합니다.
IP 주소의 정의와 설명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에 할당된 고유 식별 번호입니다. 인터넷이나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는 컴퓨터는 이 IP 주소를 이용해서 특정 위치에 정보를 제공하고 받습니다.
이런 IP 주소에서 크게 두 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그중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은 4번째 버전인 IPv4 주소입니다. 최대 40억 개의 IP 주소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버전으로 최근에는 6번째 버전인 IPv6 주소를 사용합니다 IPv6는 수조 개의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어 컴퓨터 외 새로운 장치에 할당됩니다.
IPv4와 IPv6 주소 차이점
구분 | IPv4 | IPv6 |
주소 길이 | 32비트 (43억 개) | 128비트 (거의 무한) |
형식 | 192.168.0.1 |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
주소 고갈 리스크 | 있음 (NET로 대처) | 없음 |
설정 방식 | 수동 또는 DHCP | 자동 구성(SLAAC)도 가능 |
속도 | 단순 | 구조는 복잡하지만 최신 네트워크에 최적화 |
국내 인터넷 서비스는 대부분 IPv4 중심으로 되어있지만, 통신사/정부/대기업 등은 점차 IPv6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외국에 IT 대기업(구글, 넷플릭스 등)은 이미 IPv6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기기에서도 LTE나 5G 네트워크는 내부적으로 IPv6을 사용하고 있다고 봅니다.
'IT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e.sys 이 장치에 드라이버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해결법 (0) | 2025.06.28 |
---|---|
ASUS TPM 2.0 활성화 방법 윈도우 11 업데이트 설치 오류 (0) | 2025.06.21 |
시스템|SAP의 주요 메모리 개념들 총 정리 (0) | 2025.03.11 |
[SAP] Header(헤더)와 Item(아이템) 차이 간단 정리 (0) | 2025.03.04 |
[SAP] CBO와 커스터마이즈(Z 프로그램) 차이 (0) | 2025.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