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티스토리 또는 기타 블로그로 구글 애드센스를 신청하기 전에 서치 콘솔에 등록을 해야 합니다. 그중에 RSS와 사이트맵을 등록해야 하는데, 만약 사이트맵 항목에서 "가져올 수 없음" 빨간 글씨가 써져 있다면 아래의 방법대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우선 RSS와 사이트맵이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합니다.
RSS와 사이트맵의 의미
구글 애드센스에 블로그를 등록하려면 RSS와 Sitemap을 잘 이해하고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SS(Rich Site Summary)
RSS의 사용 이유는 방문자가 쉽게 새 콘텐츠를 보고 팔로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검색엔진이 새로운 콘텐츠가 등록되었을 때 빠르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 목적: 블로그에 새로 작성한 글이나 업데이트를 구독자에게 자동으로 알려주는 역할로 주로 XML 파일로 제공
*사이트맵(Sitemap)
사이트맵의 사용 이유는 검색엔진(구글, 네이버 등)이 내 블로그의 모든 페이지를 효율적으로 수집(크롤링)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블로그가 사용자 검색 결과에 따라 더 많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 목적: 검색엔진이 블로그나 웹사이트 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지도 역할
쉽게- 말하면 RSS는 "자동 알림 서비스"이며 사이트맵은 블로그의 모든 내용을 검색엔진에 보여주는 "웹사이트 지도"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맵 "가져올 수 없음" 해결 방법
사이트맵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았다면 블로그로 수익을 내고자 하는 블로거는 반드시 사이트맵을 잘 등록해야 합니다. 하지만, 만약 블로그 운영 도중 "가져올 수 없음" 상태가 뜨면서 오류가 난다면 최대한 빨리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우선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에 접속해 좌측 [Sitemaps] 탭을 눌러 /sitemap.xml의 상태가 "가져올 수 없음"인지 확인합니다. 그다음, 상단 URL 검사 창에 본인 [블로그 주소](https://malleus123.tistory.com) + "/sitemap.xml"을 검색합니다.

이후에 "URL이 Google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 상태라면 [색인 생성 요청]을 클릭합니다. 이 과정은 짧으면 1분 내에 끝납니다.

마지막으로 초록색 "색인 생성 요청됨"을 확인했다면 정상적으로 작업은 끝났습니다. 그 뒤로 며칠 뒤에 사이트맵 등록 상태를 다시 확인해 보시고, "성공"으로 변경되었다면 모든 문제 해결은 끝났습니다.
새로운 사이트나 운영 중인 사이트에서 간혹 상태 오류가 생길 때가 있습니다. 위 방법대로 다시 색인 생성을 요청해도 되지만 그대로 둬도 10일 이내에 다시 등록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IT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CBO와 커스터마이즈(Z 프로그램) 차이 (0) | 2025.02.17 |
---|---|
크롬 탭 별 볼륨 조절 따로 하는 꿀팁 (1) | 2025.02.07 |
크롬 유튜브 영상 끊김|버퍼링 문제 해결 3방법 (0) | 2025.01.05 |
엑셀 한글 입력 안됨| 세 가지 방법 무조건 해결! (0) | 2023.08.04 |
PC 메모리 사용량 확보! 정리하는 방법 (0) | 2023.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