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ERP, 회계 시스템과 은행과의 연결을 위해 펌뱅킹, 이브랜치, 인터넷뱅킹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합니다. 3가지의 차이점과 특징을 정리해 어떨 때 쓰면 장점이 있는지 정리합니다. 기업에서는 은행을 통해 금융 거래를 하기 위해 일반 거래와는 달리 대용량 처리와 결재 프로세스가 필요합니다. 이런 경우 다양한 방식으로 자동화 또는 정책을 관리하고 있어 회계팀이거나 ERP 회계 담당자라면 필수로 숙지해야 하는 내용입니다.

 

 

펌뱅킹의 정의와 특징

 

펌뱅킹은 기업 내부 시스템과 은행 시스템을 직접 연결해 자동화된 금융 거래를 수행합니다.

 

펌뱅킹의 경우 자동화에 장점이 있기 때문에, 급여 이체나 협력사 간 대금을 정산하는 등 정기적인 작업에 적절합니다. 하지만, 그만큼 보안 측면에서 조심해 구축해야 합니다. 특정 사용자만 접근해 유지보수를 담당해야 하며 재무팀과 IT팀이 협업해 ERP 연동과 시스템 운영, 보안을 관리해야 합니다.

 

펌뱅킹은 은행에서 모듈을 제공하고, 기업에서는 ERP 연동 작업과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펌뱅킹을 사용하고 싶다면 은행과 계약이 필수며 양방향 연동 개발이 필요합니다.

 

ERP ↔ 은행 간 통신이기 때문에 IP/서버 인증, API 키 등으로 기업 단위 인증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브랜치의 정의와 특징


이브랜치는 기업 전용 인터넷뱅킹 서비스로, 대량 이체, 자금 관리, ERP 연동 등 특화 기능 제공합니다. 한국에서는 기업은행이 이브랜치 모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업은 다수의 은행과 거래를 하기 때문에, 이브랜치는 기업 - 은행사들 간의 매개체 역할을 수행합니다.

 

펌뱅킹과의 차이점은 다단계 승인 절차를 사용해 이체 및 해외 송금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각 상황별 승인 절차는 재무팀에서 관리해야 하며 사용을 원한다면 기업 전용 서비스를 신청해야 합니다.

 

인터넷뱅킹의 정의와 특징

 

인터넷뱅킹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은행의 인터넷 뱅킹 사이트에 접속해서 거래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일반 은행 이용자도 인터넷뱅킹을 활용하는 것처럼, 기업에서도 직접 은행 웹사이트에 접속해 이체나 조회 등 금융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모든 거래가 수동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소액 이체나 긴급으로 자금이 이동되어야 할 때, 또는 실시간 금액 조회가 필요할 경우에만 사용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