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평상시 병원을 갈 때 진료를 보는 의사가 일반의인지 전문의인지 자세히 보진 않습니다. 하지만 만약 중요하고 위험한 진료나 수술을 받아야 한다면 보다 경력이 많고 실력 있는 의사에게 받고 싶습니다. 그럴 때 일반 의원과 전문의가 운영하는 병원을 구별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의사 일반의와 전문의 차이점

 

우선 일반의와 전문의의 차이점을 알기 위해선 의사 교육 과정을 알아합니다. 아래는 전문의가 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순서대로 작성했습니다.

 

  • 의사 교육 과정 순서
  1. 의대 졸업
  2. 전문의 자격시험 합격
  3. 의사 면허 취득
  4. 인턴 1년 이수
  5. 특정과 선택
  6. 특정과의 레지던트 4년 이수
  7. 전문의 시험

 

여기서 만약 3번 [의사 면허 취득]까지만 했다면 일반의가 되는 것입니다. 일반의가 된 후 대학 병원에서 1년 동안 인턴 생활을 하고, 원하는 과에 지원하여 레지던트 과정을 4년 이수합니다. 레지던트 과정 후에 전문의 시험을 통해 합격을 하게 된다면 전문의 신분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5번의 [특정과 선택]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성적순으로 정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성형외과나 피부과 같은 인기과는 더 많은 경쟁이 있습니다. 따라서 피부과나 안과 전문의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면 일반의 중에서도 굉장히 좋은 성적으로 의사 과정을 이수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5년의 인턴과 레지던트를 통해서 현장 진료 경험까지 갖추게 됩니다. 따라서 지식과 경험 측면에서 전문의가 일반의보다 일반적으로 더 앞선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의 중에서도 이후 공부를 계속하고 경험이 축적된 분들도 많기 때문에 무조건 전문의라고 더 유능한 것은 아닙니다.

 

 

일반의 전문의 병원 구별 방법

 

만약 전문의나 일반의 병원을 알고 싶다면 병원의 간판으로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하나의 예로 "맑은 피부과 의원"을 들어보겠습니다.

 

맑은 피부과 의원

 

여기서 "맑은"은 고유명칭으로 큰 의미가 없습니다. 두 번째 "피부과"는 진료과목이고, 마지막 "의원"은 종류 명칭입니다. 여기서 종류 명칭 앞에 진료과목을 쓸 수 있는 것은 전문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일반의의 경우는 위와 같은 병원 이름을 사용하고 싶다면 "맑은 의원 피부과" 이런 식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병원-간판-일반의-전문의-구분-예시
좌측은 일반의, 우측은 전문의 병원 예시 사진

 

위의 사진으로 확인해보면 빠릅니다. 좌측은 "의원" 뒤에 진료과목인 "피부과"가 붙었기 때문에 일반의 병원입니다. 반대로 오른쪽은 "피부과" 뒤에 "의원"이 붙었기 때문에 전문의 병원입니다.

 

댓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