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동차의 배터리를 교체하는 방법과 만약 방전되었을 때 점프선을 연결하는 순서에 대해 정리합니다. 자동차에서 혼자 부품을 교체하기 가장 쉬운 것은 배터리입니다. 하지만 배터리를 잘못 교체하거나 관련 지식이 부족하면 스파크가 튀면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배터리 교체 방법

 

자동차의 배터리를 바꾸기 전에 차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차체는 (-) 극성이기 때문에 만약 (+) 극성이 차체와 닿게 되면 스파크가 크게 튀거나 심각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점프선을 연결할 때 반드시 (+)이 차체와 닿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자동차의 배터리를 확인해보면 (+) 단자와 (-) 단자가 있을 것입니다. (+) 단자는 보통 빨간색으로 되어 있으며 (-) 단자는 검은색으로 되어 있습니다. 배터리에 보면 양각으로 표시가 되어 있는 만큼 초보자도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에 있는 단자를 제거할 때 조심해야 합니다. 반대로 (-) 단자는 차체에 닿아도 아무 문제가 없기 때문에 (-) 단자 먼저 제거해줍니다.

 

  1. 배터리의 (-) 단자를 제거한 후 (+) 단자를 제거합니다.
  2. 교체할 배터리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터리를 장착합니다.
  3. 새로운 배터리에 (+) 단자를 먼저 연결한 후에 (-) 단자를 연결합니다.

 

위의 방법에 보면 배터리를 제거할 때와 다시 연결할 때, 단자 연결 순서가 반대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 단자를 최대한 차체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배터리를 제거할 땐 가장 늦게 떼고, 연결할 땐 가장 먼저 연결하는 것입니다.

 

 

자동차 점프선 연결 방법

 

자동차에 점프선을 물릴 때도 순서는 변하지 않습니다. (+) 단자가 최대한 차체에 닿지 않도록 배터리에 먼저 고정해줍니다. 반대로 점프선을 제거할 땐 (-) 단자를 먼저 제거하고 (+) 단자는 제일 마지막에 제거해 손에서 떨어지는 일이 적도록 만들어줍니다.

 

  1. 시동이 걸린 차량의 (+) 단자에 점프선을 연결하고 방전된 차량의 (+) 단자에도 연결합니다.
  2. 시동이 걸린 차량의 (-) 단자에 점프선을 연결하고 방전된 차량의 (-) 단자에도 연결합니다.
  3. 방전된 차량의 시동을 켜고 두 차량의 (-) 단자를 먼저 제거합니다.
  4. 마지막으로 (+) 단자의 점프선을 제거하면서 차체에 닿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자동차 배터리 연결, 제거 순서 쉽게 외우는 방법

 

일반인이 배터리를 자주 교체하거나 점프선을 쓸 일이 많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순서를 까먹게 됩니다. 위의 내용들이 이해됐다면 아래의 쉽게 외우는 방법만 기억해서 나중에도 헷갈리지 않고 안전하게 차량 관리하기 바랍니다.

 

  • 뺄 땐 빼고 (-) 더할 땐 더한다 (+)

단자를 뺄 땐 (-) 단자를 먼저 빼고, 단자를 더할 땐 (+) 단자 먼저 더한다는 의미입니다.

 

  • 쁠마 마쁠

가장 많이 외우는 방법으로 점프선을 연결할 땐 쁠마 (플러스 단자 후 마이너스 단자 연결), 제거할 땐 바쁠 (마이너스 단자 후 플러스 단자 연결)을 의미합니다.

 

댓글
반응형